0. 오늘의 배울 것.
코드가 실행되는 방식에는 비동기 실행과 동기 실행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론 동기 실행이지만, fetch 함수 같은 건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
이번 시간에는 비동기 실행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다음 fetch 함수가 리턴하는 promise 객체가 무엇인지, fetch함수의 원리는 무엇인지 더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다.
1. 비동기 실행이 무엇인가?
웹 통신은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 즉,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게 아니라 console에서 작동하는 와중에 request와 response가 와리가리 병렬적으로 지들끼리 통신하는 것이다.
// 1번 실행
console.log("start");
// 리스폰스 받아야 실행되므로 기다림... 그 와중에 밑에 console end가 먼저 실행되고, 그 이후 리스폰스 받아서 then 내부 콜백함수가 실행됨.
fetch("https://www.google.com")
.then((response) => response.text())
.then((result) => {
console.log(result);
});
// 2번 실행
console.log("end");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콘솔 창에는
start
end
{data}
순으로 출력된다. 동기 실행 코드인 console. ... 가 먼저 실행되고, 비동기 실행은 response를 받은 이후에야 시작되는 것이다.
즉, then 키워드는 콜백 함수를 등록만 하고 정작 실행은 reponse가 와야 그 후에 실행된다.
비동기 실행에서의 실행 순서...
- console.log('Start');
- fetch 함수(리퀘스트 보내기 및 콜백 등록)
- console.log('End');
- 리스폰스가 오면 2. 에서 then 메소드로 등록해뒀던 콜백 실행
이런 것을 비동기 실행이라 하는 반면, 동기 실행은 한 번 시작한 작업을 다 처리하고 나서야 다음 코드로 넘어가는 방식이다.
코드 실행 순서...
- console.log('Start');
- fetch 함수(리퀘스트 보내기)
- 리스폰스가 올 때까지 코드 실행이 잠시 '정지'되고,
- 리스폰스가 오면 필요한 처리 수행
- console.log('End');
비동기 실행은 일단 리퀘스트를 보내고 콜백 등록까지 하기 때문에 시간이 절약된다.
2. 비동기 실행 함수 종류
fetch 말고도 비동기적으로 실행되는 함수들이 있다.
- setTimeout 함수
- 특정 함수의 실행을 원하는 시간만큼 뒤로 미룰 때 사용하는 함수.
// 콜백 함수의 실행을 2초 미룬다.
// a c ... 2초 후 b 가 출력됨.
console.log("a");
setTimeout(() => {
console.log("b");
}, 2000);
console.log("c");
- setInterval 함수
- 특정 콜백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하도록 등록하는 함수.
// a c, ... 2초후 b 2초후 b 2초후 b...
console.log("a");
setInterval(() => {
console.log("b");
}, 2000);
console.log("c");
- addEventListener 함수
- addEventListener 함수는 DOM 객체의 메소드이다.
- 사용자가 웹페이지에서 어떤 이벤트를 발생시킬 때 함수가 호출되게 하려면, 해당 DOM 객체의 onclick 속성에 함수를 설정하거나, 해당 DOM 객체의 addEventListener 메소드의 파라미터로 전달하면 된다.
- 파라미터로 전달된 콜백 함수가 바로 실행되는 게 아니라, 특정 조건(이벤트)가 만족할 때마다 실행되기 때문에 비동기적 함수이다!
// onclick 속성에 함수 설정하는 법
btn.onclick = function (e) {
console.log("Hello!");
};
btn.onclick = (e) => {
console.log("Hello!");
};
// addEventListener 메소드 파라미터로 콜백함수 넘겨주는 법
bt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e) {
console.log("Hello!");
});
btn.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Hello!");
});
- fetch 함수
- setTime(콜백함수, 시간), setInterval(콜백함수, 시간), addEventListener(이벤트, 콜백함수) 형식인 반면에 fetch 함수는 .then 메소드를 통해 콜백을 등록한다.
- 사실 fetch는 앞서 배운 저 함수들과는 다른 방식의 비동기 실행이기 때문에 문법이 다르게 생긴 것이다!!
- fetch 함수는 promise 객체라는 것을 리턴하고, 이 promise 객체는 비동기 실행을 지원하는 또다른 문법에 해당하는데 이 속성 때문에 특이하게 생겼다.
3. promise 객체란?
이제 비동기 실행이 무엇인지, fetch가 비동기적 함수라는 건지를 배웠다.
fetch가 다른 비동기 함수와 모습이 다른 건, 또다른 비동기 실행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promise 객체를 리턴하기 때문이란 것도 배웠다.
fetch("https://www.google.com").then(/*콜백함수*/);
// 위와 아래는 의미상 같은 맥락.
promise.then(/*콜백함수*/);
그렇다면 promise 객체가 무엇인가?
- promise 객체는 어떤 작업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갖고 있는 객체이다.
- fetch 함수가 성공하든, 인터넷이 끊겨서 등등의 문제로 실패하든, 하여간 작업이 어떤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게 promise 객체!
promise 객체의 3가지 상태
- pending: 진행중
- fulfilled: 성공
- rejected: 실패
즉, fetch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작업이 어떤 상태인지에 따라 promise 객체도 상태를 가진다!! 만약 작업이 진행 중이라면 promise 객체는 pending 상태이다가 작업이 성공하면 fulfilled 상태, 그렇지 못하면 rejected 상태가 된다.
그리고 fulfilled 상태가 되면 작업한 결과도 promise 객체에 저장해준다!! 여기서는 서버가 보내준 response가 작업 결과이다.
반대로 rejected 상태가 되면 작업이 왜 실패했는지, 작업 실패 이유에 관한 정보를 갖게 된다. 보통 인터넷이 끊기거나, 존재하지 않은 url로 접근하려 할 때 fetch가 실패한다!
즉!!!
promise 객체가 가지고 있는 것
- pending 상태
- fulfilled 상태 + 작업 성공 결과
- rejected 상태 + 작업 실패 정보
자, 그럼 다시 코드를 보자!!
console.log("start!");
fetch("https://www.google.com")
.then((response) => response.text())
.then((result) => {
console.log(result);
});
console.log("end!");
- 사실 then 메소드는 promise 객체의 메소드이다.
- 그리고 이 then 메소드는 콜백 함수를 등록해주고, promise 객체가 fulfilled 상태가 될때에만 콜백 함수가 호출되게 해준다. (콜백 실행은 프로미스 객체가 pending 상태에서 fullfilled 상태가 될 때 일어난다! 지금은 콜백 등록만.)
- 프로미스 객체는 작업이 성공하면, 여기서는 response를 받으면 fulfilled 상태가 된다!
- 즉, fetch 함수가 response를 정상적으로 받으면 fulfilled 상태가 되면서 콜백 함수들이 실행된다.
- 이 때 fetch 함수가 실행되면서 반환된 promise 객체에는 작업 성공 결과로 response 를 가지게 되는데, 이 작업성공 결과(리스폰스)가 첫번째 콜백 함수의 파라미터인 response로 들어감!!!
- 그리고 then 메소드는 한 줄이 아니라, 여러 중 이어서 쓸 수 있다. 이것을 promise chaining이라 한다!
promise chaining이란
아래 코드처럼 then 을 줄줄이 연결한 것. 이게 가능한 이유는 then 메소드가 새로운 프로미스 객체를 리턴하기 때문이다!!
fetch에서 리턴한 프로미스 객체를 첫 번째 then 메소드가 받아 처리하고, 그 then 메소드가 새로운 프로미스 객체를 그다음 then 메소드의 파라미터로 넘겨준다.
then 메소드가 처음 프로미스 객체를 return할 때엔 아직은 pending 상태이다. 그런데 then 내부 콜백 함수가 실행되고, 그 콜백 함수에서 실행을 완료하여 값을 리턴하면 then 메소드의 promise 객체의 상태가 바뀌게 된다. 이 때 콜백함수가 어떤 값을 리턴하는지에 따라 경우가 다른데...
- 콜백 함수가 프로미스 객체를 리턴한 경우: 콜백이 리턴한 프로미스 객체와 then 함수가 리턴한 프로미스 객체의 상태가 같아진다. 예를 들어 콜백이 리턴한 프로미스 객체가 fulfilled 상태라면 그 콜백 함수를 파라미터로 갖고 있던 then 메소드가 리턴한 프로미스 객체도 fulfilled 상태가 되고, 만약 콜백이 리턴한 게 rejected 상태 프로미스 객체라면 그 then 메소드의 프로미스 객체도 rejected 상태가 된다.
- 만약 콜백에서 리턴한 값이 promise 객체가 아니라면, then 메소드가 리턴한 프로미스 객체는 자동으로 그냥 fulfilled 상태가 되고 작업 성공 결과로는 콜백 함수가 반환해준 값(문자열, 일반 객체, 숫자 등...)을 가지게 된다.
즉 then 메소드 내부 콜백 함수의 파라미터로 전달되는 값은 그 전에 return 받은 promise 객체의 작업 성공 결과이다!! promise 객체 자체를 인자로 받는 게 아님!!
fetch("https://www.google.com")
.then((response) => response.text())
.then((result) => {
const users = JSON.parse(result);
return user[0];
})
.then((user) => {
console.log(user);
const { address } = user;
return address;
})
.then((address) => {
console.log(address);
const { geo } = address;
return geo;
})
.then((geo) => {
console.log(geo);
const { lat } = geo;
return lat;
})
.then((lat) => {
console.log(lat);
});
참고로 response.text() 함수나, JSON.parse() 함수도 promise 객체를 리턴하는 함수이다.
- response.text()
- fetch 함수로 리스폰스를 받으면, reponse 객체의 text 메소드는 fulfilled 상태이면서 reponse의 바디에 있는 내용을 string 타입으로 변환한 값을 작업 성공 결과로 가진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 그래서 response.text로 받은 객체의 값은 string형이기 때문에 json 객체의 parse 메소드로 객체화시켜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const result = response.text() 에서 result를 typeof로 확인하면 string이 확인 되는 거임. response.text 자체는 프로미스 객체를 전달하지만, result에 주어지는 값은 프로미스 객체의 작업 성공 결과니까.
- json 메소드
- json 메소드는 fulfilled 상태이면서 response의 바디에 있는 json 데이터를 js 객체로 바꿔주어 생겨난 객체를 작업 성공 결과로 가진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 즉, reponse의 바디에 있는 내용이 json 타입이 아니라면 에러가 발생하면서 rejected 상태의 promise 객체를 반환하는 것이다!!
이런 promise chaining이 왜 필요한 걸까?
사실 그냥 then 메소드 안에 콜백 함수 하나로 몰아서 작성해도 되지만, then 을 써서 더 가독성있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프로미스 객체를 가지고 순차적인 일을 할 때 then 메소드는 빛을 발한다!
fetch("url")
.then(/*콜백함수*/)
.then(
/* id 값을 알아내는 콜백함수*/
return fetch(`url=${id}`);
)
.then(
/*위의 fetch가 반환한 promise 객체를 바로 연달아서 then 메소드에게 넘겨준다!!*/
)
예시
fetch("url")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interviewResult) => {
const { interviewees } = interviewResult;
const newMembers = interviewees.filter(
(interviewee) => interviewee.result === "pass"
);
return newMembers;
})
.then((newMembers) =>
fetch("url", {
method: "POST",
body: JSON.stringify(newMembers),
})
)
.then((response) => {
if (response.status === 200) {
return fetch("url");
} else {
throw new Error("New members not added");
}
})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members) => {
console.log(`총 직원 수: ${members.length}`);
console.log(members);
});
4. rejected 상태의 콜백
앞에서는 프로미스 객체의 상태가 fulfilled 라고 가정했는데, 만약 rejected 상태의 객체가 들어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이걸 대비하기 위해 then 메소드에 인자를 두 개를 넣는다!! 첫 인자는 fulfilled 상태일때 실행하는 콜백함수, 두번째 인자는 rejected 상태일 때 실행하는 함수이다.
1번 인자의 파라미터 response로는 앞서 받은 promise 객체의 작업 성공결과가 들어가고, 2번 파라미터 콜백함수의 인자 error에는 promise 객체의 작업 실패 원인이 들어간다!!
fetch("https://www....").then(
(response) => response.text(),
(error) => {
console.log(error);
}
);
이렇게 되면 then 메소드의 두번째 콜백 함수로 에러 객체(=작업실패정보) 가 전달됨.
앞에서 콜백함수가 어떤 값을 리턴할 때 그 값이 promise 객체를 반환할 경우, 객체가 아난 것을 반환할 경우를 배웠다.
객체를 반환할 경우: 콜백함수가 리턴한 객체가 해당 then 함수가 리턴하는 프로미스 객체와 상태, 정보 값이 같아짐.
객체가 아닌 문자열 숫자 등을 반환할 경우: then이 리턴하는 객체는 그냥 바로 fulfilled 상태가 되고 작업 성공 결과에는 콜백함수의 리턴값이 들어감.
만약 콜백 함수가 아무것도 리턴하지 않는다면??
그럼 콜백 함수는 undefined를 리턴했다고 간주됨!! 2번 규칙에 따라 객체가 아닌 undefined 값이 리턴되면서 해당 then 메소드의 프로미스 객체는 fulfilled 상태가 되고 작업성공결과에 undefined 값이 들어감.
- 만약 콜백 함수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이 때는 then 메소드의 객체가 rejected 상태가 되고 해당 에러 객체를 작업 실패 정보로 가진다.
하나 더!!
만약 then 함수에 두 번째 인자가 없는데 (error가 날 경우 실행할 콜백 함수가 없는데) 에러가 났다면? 해당 then 문은 앞에서 에러 난 코드의 promise 객체를 이어 받아 똑같이 rejected 상태, 작업 실패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두 번째 인자가 없는 then 문을 쓴다고 해도 rejected 객체가 내려오면 거기서 코드 작동이 멈추는 게 아니라 콜백 아무것도 실행 안된채로 쭉쭉 내려오다가, 2번째 인자가 있는 then 함수를 만나면 그 때서야 그 2번째 콜백함수의 인자로 전달되는 것. 만약 아무 then 함수도 2번째 인자를 갖고 있지 않다면 그대로 스루되어 아무 동작도 하지 않을 것이다.
5. catch 메소드
rejected 객체를 다루는 방법은,
앞에서 배운 대로 then 메소드의 두번째 인자에 error 객체 처리 함수를 넣는다.
catch 라는 메소드를 사용한다!!! catch는 rejected 상태의 promise 객체를 만날 때 실행될 콜백 함수를 등록해주는 메소드이다.
fetch("url")
.then((response) => response.text())
.catch((error) => {
console.log(error);
})
.then((result) => {
console.log(result);
});
사실 catch() ㅣ는 then(undefined, 두번째인자) 와 같은 의미이다. 근데 이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catch로 error를 처리하는 것!! 그리고 위에서 catch 메소드를 실행하고 catch 메소드 내부 콜백함수가 반환하는 값이 아예 없으니 catch 문이 반환하는 promise 객체는 fulfilled 상태, undefined 값을 가진다. 따라서 catch 문 이후 then 메소드는 undefined 값을 가진 promise 객체를 받기에, result에는 response.text가 아니라 undefined를 출력한다.
그래서!!! catch 문은 꼭 코드의 마지막으로 내려줘야 한다. undefined 객체 전달 뿐만 아니라, catch 이후의 then 메소드에서 발생한 에러를 잡기 위해선 catch는 반드시 아래에 존재해야 한다.
그런데 catch 문을 마지막에 써주면, 어디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잘 알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필요한 게 throw new Error("type error: too long!!"); 같은 거다!! if 에러 발생 시, error 객체를 throw 하면 바로 catch 문으로 넘어가 error 객체를 받는다. 그리고 어떤 에러 객체인지 확인하여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 수 있다ㅓ.
...
.then((result) => {
...
if(에러 발생 시){
throw new Error('no required field');}
})
.catch((error) => {
if(error instanceof TypeError){
}else if(error instanceof CustomErrorType_A){
}else if(error instanceof CustomErrorType_B){
}else{
}
});
가끔, 중간에 에러가 발생할 때 대체 값을 그 다음으로 넘겨줄 수 있게 catch 문을 중간에 쓰기도 한다. 그리고 catch 문 내부에 return 대체 작업물 값을 해주면 된다!!
6. finally
finally 메소드는 catch 보다 더 뒤에 쓴다. 콜백이 rejected든 fulfilled이든 상관 없기 때문에, 파라미터를 받지 않는다.
...
.then()
.catch()
.finally(() => {console.log("EXIT");})
finally는 무조건 해야 하는 작업에 쓰는 문이다. 프로미스 체이닝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했던 자원을 정리한다든가, 로그 기록을 남겨야 한다든가 등에 쓰인다.
7. 정리
정리하자면!!
fetch 함수는 비동기 실행 함수이다.
fetch 함수와 then 메소드는 비동기 실행을 처리할 수 있는 promise 객체를 리턴한다.
promise 객체는 상태값과 작업 내용을 갖는데, 상태로는 pending, fulfilled, rejected 이 3가지 상태를 가지고, 작업 내용에는 콜백함수의 리턴값 혹은 서버에게 받은 값, rejected 상태라면 에러 객체를 갖는다.
rejected 상태 promise를 처리하기 위해 then 메소드에 인자를 2개 넘겨주거나 catch finally 문을 사용한다.
'프론트 공부 > 웹과 API,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tch 함수에서 Async와 await 키워드 써보기. (0) | 2023.11.20 |
---|---|
promise 객체 공부 기록. (0) | 2023.11.20 |
HTTP 메소드를 활용해서 request 보내기 (1) | 2023.11.20 |
웹 API 설계, RESTful API (2)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