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ch 2

fetch 함수와 비동기 실행

0. 오늘의 배울 것. 코드가 실행되는 방식에는 비동기 실행과 동기 실행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론 동기 실행이지만, fetch 함수 같은 건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 이번 시간에는 비동기 실행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다음 fetch 함수가 리턴하는 promise 객체가 무엇인지, fetch함수의 원리는 무엇인지 더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다. 1. 비동기 실행이 무엇인가? 웹 통신은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 즉,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게 아니라 console에서 작동하는 와중에 request와 response가 와리가리 병렬적으로 지들끼리 통신하는 것이다. // 1번 실행 console.log("start"); // 리스폰스 받아야 실행되므로 기다림... 그 와중에 밑에 console end가 먼저 실행되고, 그..

HTTP 메소드를 활용해서 request 보내기

0. 오늘의 배울 것. 서버에게 리퀘스트를 보낼 때, '데이터를 보고 싶어요' 라든가, '이 데이터를 저장해주세요', '이 데이터를 수정해주세요' 등의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서버에게 request를 보낼 때 내가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 method를 지정해서 같이 보내면 되는데,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참고로 fetch 함수를 쓰면 json데이터를 js 객체로 변환하는 과정이 따로 필요하지만, axios 객체를 쓰면 그런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실무에선 보통 axios를 많이 쓴다고는 하지만, 간단한 웹 통신에서는 fetch도 쓰이긴 하니 fetch 기준으로 알아보자. 1. JSON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하기. (axios 에서는 JSON 데이터를 따로 변환..